3.145.131.238
3.145.131.238
close menu
KCI 등재
메타분석을 이용한 장애이해교육 프로그램 효과 분석
The Effect Analysis of Disability Awareness Program Using Meta-Analysis
백상수 ( Baek Sang-su ) , 박영근 ( Park Yung-keun )
DOI 10.35361/KJID.20.4.1
UCI I410-ECN-0102-2019-300-001131386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이해교육 프로그램 연구의 전반적인 효과와 각 조절변인별 중재 효과의 크기를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일반학생을 대상으로 장애이해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연구 54편 중 101개의 연구 사례를 선정하여 각 연구에서 제시한 결과를 메타분석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이해교육 프로그램의 전반적 효과크기를 살펴본 결과 장애이해교육 프로그램이 일반학생들의 장애인식개선에 상당히 큰 효과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별 평균 효과크기는 유치원생의 경우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중학생, 초등학생, 고등학생의 순서로 중재 효과가 나타났다. 중재 시간에 따른 평균 효과크기를 살펴본 결과 정규수업 내와 정규 수업 외에서 모두 큰 효과를 보여주었으나 그룹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중재 수단별 평균 효과크기를 살펴보면, 영상활용중심, 체험활동중심, 영상 및 체험을 포함한 통합형 프로그램이 강의 중심의 장애이해 프로그램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효과 크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재 제공자에 따른 평균 효과크기를 살펴본 결과 교사가 실시한 경우와 연구자가 직접 실시한 경우 모두 중재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나 두 집단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장애이해교육을 실시한 중재 상황별에 따른 효과크기를 살펴본 결과 통합환경과 비 통합환경 모두에서 중재효과가 유사한 수준에서 큰 효과를 나타내었다. 장애이해교육 프로그램 중재회기에 따른 평균 효과크기를 살펴본 결과 중재회기의 횟수에 따른 평균효과 크기에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장애이해교육 프로그램 실시 집단의 구성원 수에 따른 효과크기를 살펴본 결과 학생들의 수가 31명 이상인 경우가 30명 이하의 집단에 비해 효과크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종속변인에 따른 장애이해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크기를 살펴본 결과 정의적인 면에 미치는 효과가 행동적인 면에 미치는 효과크기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향후 교사 혹은 연구자들은 일반 학생들의 장애인식 개선을 위해 장애이해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는데 있어, 효과적인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overall effect size of disability awareness programs for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and the difference of effect size according to moderator variable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 meta-analysis was conducted for 101 research cases in 54 articles that implemented disability awareness programs for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Disability awareness programs showed a large effect size in general. The mean effect size according to the grade was greatest for preschool students, followed in the order of middle school, elementary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In terms of the time of implementation, disability awareness programs proved to be effective in both regular and non-regular hours, although there was no difference in effect size between regular and non-regular hours. With regard to the method, the mean effect size was greater for video-based programs, programs with disability simulation activities, and programs using both videos and activities than for lecture-based programs. Both the teacher and the researcher produced a high effect size, though there was no difference in effect size according to the instructor. In respect of the environment, programs in both inclusive and non-inclusive classrooms had an equally large effect size. The number of implementation periods showed no difference in effect size, while the mean effect size was higher for groups of more than 31 students rather than groups of less than 30 students. Lastly, in terms of dependent variables, disability awareness programs were revealed to have a greater effect on emotional aspects than on behavioral aspects. Taking these findings into consideration, it is required for the teacher or researcher to create an effective environment for implementing disability awareness programs for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 고 문 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