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인구사회학적 요인, 환경적 요인, 제도적 요인을 중심으로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6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2)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는 고령사회에 진입한 한국 노인의 삶의 질과 관련된 영향 요인을 고찰하고 노인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 물리적 환경과 무형적 제도 요인을 중심으로 탐색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수도권 내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 401명 대상으로 편의 표집을 하였다. 그 중 불성실한 응답 16부를 제외한 385부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으로는 주요변수의 기술통계량, 독립 t-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로는 첫째, 요인별 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차이는 인구사회학적 요인 중 성별, 최종학력, 경제활동참여여부, 주관적 경제상태, 주관적 건강상태는 채택되었으며 환경적 요인에서는 기초 생활, 제도적 요인에서는 교육 및 문화 활성화, 건강보장이 채택되었다. 둘째, 요인별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력은 인구사회학적 요인 중 주관적 경제상태가 가장 높은 영향을 보였고 성별, 최종학력, 주관적 건강상태도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어 환경과 제도 요인 또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정책을 모색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of elderly people to explore the physical environmental and non-physical institutional factors affecting the elderly"s life. The 385 sample of elderly people aged 65 and over were collected.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gender, final education,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ies, subjective economic status,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were adopted as the significant variables. In environmental factors, only basic life was meaningful. In institutional factors, education and culture revitalization and health guarantee were adopted. Second, the quality of life was the most influenced by the subjective economic status among the socio-demographic factors, and gender, educational level,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were significant. The institutional factors also showed meaningful resul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seek to find policies and social welfare service practice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논의
Ⅳ. 함의
참고문헌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9-692-0005104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