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Focus on Bonds, Bridges, and Links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4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논문은 새마을운동과 사회적 자본과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 그 목적으로, 특히 결속(bonding), 가교(bridging), 연계(linking)형 사회적 자본에 초점을 둔다. 새마을운동이 절대 빈곤 감소를 위한 지역발전의 모델로 전세계적, 특히 저개발국의 관심을 받으면서 많은 저개발국에서는 새마을 ODA(공적개발원조) 프로젝트가 시행되어 왔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원조 규모에 비해 성과가 미미하다는 평가와 함께, 저개발국 또한 물질적 원조만이 더 이상 해결책이 될 수 없다는 것을 인지한 듯하다. 이에 원조 시행기관뿐 아니라 학계에서는 새마을운동의 성공 요인 중 사회적 자본 측면에 초점을 두기 시작했다. 본 논문에서는 Lin(2001)의 사회적 자본 이론을 연구틀로 하면서, 사회적 자본의 요인을 정부 문헌을 포함하여 새마을운동 관련 선행 연구 분석과 함께, 새마을 시대를 실제로 겪었던 당시 공무원, 마을 주민, 그리고 새마을 지도자 등과의 인터뷰를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새마을운동은 신뢰, 규범, 네트워크, 협동 등 마을 저변의 사회적 자본 요인을 기반으로, 마을 간 가교형 사회적 자본, 국가와 마을 간의 연계형 사회적 자본 형성에 촉매제가 되었으며, 이는 경제발전으로까지 이어졌다. 이러한 결과는 가까운 이웃과의 관계에서도 신뢰가 부족한 저개발국에서 어떠한 사회적 자본 요인이 생성될 수 있으며, 어떻게 발전되어야 하는지, 그리고 왜 국가발전으로까지 이어져야하는 지에 대해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plores the relationships between Korea"s Saemaul Undong (new community movement) and social capital by answering research questions including what social capital existed in Korean communities, and how it was fostered in neighboring communities, and finally led to national economic development, focusing on bonding, bridging, and linking social capital. As Korea"s Saemaul Undong has been recognized as a world-renown community development model to eradicate absolute poverty, many less developed countries (LDCs) intend to initiate Saemaul ODA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projects. However, there have been, as yet, no notable achievements compared with the amount of aid having been poured. This has made ODA implementing organizations and academics shift their attention to social capital. This research, based on the framework of the social capital theory of Lin (2001), has been analyz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semi-structured interviews with Saemaul generations including government officials, ordinary villagers and Saemaul leaders. According to the results, Saemaul Undong, based on resources of social capital such as cooperation, trust, norms and network already imbedded in the communities, helped expand the existing social capital to the neighboring communities and ultimately lead it to economic development. Hopefully, the results can generate insights for LDCs: what social capital can be created in those countries, how it can be developed to higher levels, and why it should lead to economic development.

목차

Abstract
Ⅰ. Introduction
Ⅱ. Background information and relevant literature
Ⅲ. Research framework and methodology
Ⅳ. Analysis and discussion
Ⅴ. Closing remarks and challenges
Reference
국문요약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7-359-0009768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