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26개 국가 비교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5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이 연구는 ‘미완의 혁명’(incomplete revolution)논의에 주목하여 남성의 성역할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적 맥락을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미시적·거시적 요인들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미완의 혁명을 완성하기 위한 국가와 사회의 성평등 전략에 대한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ISSP 2012년 자료를 활용해 26개 국가 남성들을 다층분석 결과, 우선 미시적 개인 수준에서는 사회화 요인(어린시절 어머니 취업 여부, 교육수준), 세대 요인(연령), 가족 요인(결혼상태, 자녀 유무, 배우자 취업과 소득)의 영향력이 확인되었다. ‘미완의 혁명’으로 남성의 성역할 태도가 수렴하는 듯 보였지만 실제 국가 간 편차는 상당했고, 경제발전수준, 교육수준, 여성고용과 정치세력화 수준, 일·가정양립지원을 위한 보육, 부성휴가 수준이 높고 노동시간이 짧은 국가에 사는 남성들이 평등한 성역할 태도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남성의 성역할 태도를 보다 평등하게 하고 젠더 평등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가족친화적인 근로환경 조성, 일가족양립정책 발달, 여성의 고용 증가와 정치세력화, 성역할에 대한 인식 개선 기회의 제공 등이 필요하다는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heoretically review and empirically analyze the structural mechanism of the determinants of male gender role attitudes considering the ‘incomplete revolution’ agenda. Multi-level analysis using ISSP(2012) data including 26 countries revealed the significant individual factors as socialization(mother’s employment during childhood and education level), generation(age) and family(marital status, children, spouse’s employment and income). According to ‘incomplete revolution’ discussion, it seemed that male gender role attitudes converge as traditional, while male gender role attitudes are very different across countries in this analysis. The structural factors of modernization, gender equality, work-family reconciliation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which means that male gender role attitudes are more egalitarian if GDP per capita, gross education level, female employment rate, female political participation rate, the duration of paid paternity leave and the enrollment rate of 0-2years old children’s child care service are more and work hours are less. We drew the policy implication that the government and communities provide the strategies to increase female employment and political power, family-friendly working condition, policies to support fathers’ care work and opportunities such as education and campaign for men to improve egalitarian gender role attitude and gender equality.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정책적 함의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54)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7-305-000728055